■ 진행 : 변상욱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연아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브리핑이 있는 저녁 시간입니다. 이연아 기자, 오늘 준비한 소식은 무엇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준비한 키워드 먼저 보고 가겠습니다. PC 통신, 삐삐, 공중전화, 시티폰 이 단어의 공통점이 무엇일까요? 바로 40대입니다. 한국을 살아가는 40대들이 모두 공유했던, 이제는 추억으로 남겨진 것들입니다. <br /> <br />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변화하는 한복판에 지금의 40대들이 있었습니다. 당시 역사상 가장 젊은 인류로 불리기도 했습니다. 이런 40대에게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 상황이 양적, 질적으로 모두 좋아졌다고 주장하는 정부의 목소리와 달리, 40대 고용지표는 나 홀로 무섭게 추락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40대 고용시장은 정확히 어떤 상황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11월 40대는 전 연령대 중 고용률이 유일하게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22개월 연속 마이너스 고용률을 기록했는데, 외환위기 시절 25개월 연속 마이너스 고용률을 기록한 이후 최장 기간입니다. <br /> <br />하락폭도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40대 고용률은 11월 기준 2017년 79.8%에서 2018년 79.5%, 2019년 78.4%로 점점 하락폭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 큰 문제는 40대 니트족의 가파른 증가입니다. <br /> <br />즉 학교에 다니지 않고 가사 일도 하지 않는 무직자를 부르는 단어 니트족, 'Not in Education, Employment or Training' 줄임말입니다. 40대 니트족은 20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됩니다. <br /> <br />절대적 숫자는 20대가 가장 많지만, 증가세는 40대가 가장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대 니트족은 2000년 31만여 명에서 2018년 77만여 명으로 144.3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40대 니트족은 같은 기간 3만여 명에서 19만여 명으로 500% 가까이 증가한 겁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대체 왜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40대 고용 부진 원인으로 인구 요인과 제조업, 건설업 등 주요 업종 둔화 등을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또 4차 산업혁명 본격화로 산업구조 스마트화,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변화를 40대가 직격탄을 맞았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40대는 한국 경제 허리이기 때문에 정부도 심각하게 상황을 받아들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21120003465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